孟子 梁惠王上 [양혜왕상] -2-
孟子見梁惠王,王立於沼上,顧鴻鴈麋鹿,曰:“賢者亦樂此乎?” 맹자견양혜왕, 왕입어소상, 고흥안미록, 왈 : "현자역락차호? " 孟子對曰:“賢者而後樂此,不賢者雖有此,不樂也。《詩》云:‘經始靈臺,經之營之,庶民攻之,不日成之。 맹자대왈 : "현자이후락차, 불현자수유차, 불락야 운 : '경시영대, 경지영지, 서민공지, 불일성지 經始勿亟,庶民子來。王在靈囿,麀鹿攸伏,麀鹿濯濯 白鳥鶴鶴。王在靈沼 於牣魚躍 ’文王以民力為臺為沼。 경시물극, 서민자래 왕재영유, 우록유복, 우록탁탁, 백조학학 왕재영소 어인어약 '문왕이민역위대위소 而民歡樂之,謂其臺曰靈臺,謂其沼曰靈沼,樂其有麋鹿魚鱉。古之人與民偕樂,故能樂也。 이민환락지 위기대왈영대 위기소왈영소 락기유미록어별 고지인여민해락 고능락야 《湯誓》曰:‘時日害喪?予及女偕亡。’民欲與之偕亡,雖有臺池鳥獸,..
2009.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