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1

클로이 (Chloe, 2009) : 누구나 금지된 욕망을 상상한다

by R.H. 2010. 12. 20.



<주의! 결말 포함된 스포일러>


캐서린(줄리안 무어) 은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다. 자신은 초라해져만 가는데, 남편은 흰머리조차 매력으로 느껴질 정도로 멋진 미중년이 되가고, 아들은 자꾸만 자신을 밀쳐낸다. 이러한 소외감과 불안감은 남편에 대한 의심으로 번지고, 급기야 콜걸인 클로이를 이용해 남편을 시험하려 한다. 이제 일은 겉잡을 수 없이 커지기 시작하는데...


그런데 과연 배우자를 의심하지 말라, 는 구태의연한 교훈이 이 영화의 주제일까? 그런 도덕적 교훈을 이야기하는 영화치고는 지나치게 관능적이지 않은가.. 자, 영화의 마지막부터 다시 시작해보자. 영화 후반부를 자세히 보면, 이상한 게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클로이가 2층에서 떨어져 죽었다는 설정부터 그렇다. 그것도 바닥은 콘크리트도 아닌 나무 덱이다. (뭐, 그 전에 떨어진 유리창 파편에 찔려 죽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여튼, 지지리도 운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2층에서 떨어져 즉사하는 경우는 찾기 힘들다. 


클로이가 자살을 결심한 점도 이상하다. 캐서린에 대한 지극한 사랑 때문에? 이건 이상하다기 보다는 자세한 설명이 없다고 하는 게 맞는 말이다. 영화는 캐서린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클로이가 어디 사는 누군지 모른다. 클로이의 감정도 집착 외에는 드러나는 게 없다. 왜 그렇게 캐서린에게 집착하는지도 모른다. 클로이에 대해 온전히 아는 것은 단 한가지도 없다. 


아, 클로이가 "콜 걸" 이라는 건 알고 있다. 우리는 그녀가 콜걸이라는 사실만을 알 뿐이다. 이건 중요하다. 클로이는 단지 누군가의 "욕망" 의 대상으로만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욕망의 주체는 누구인가? 캐서린이다.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창 문 밖 클로이를 지켜보는 모습은 이러한 주체와 대상에 대해 잘 묘사된 장면이다. 캐서린은 어느 콜 걸(=욕망) 을 바라보고 있었던 것이다.

클로이를 내려다 보는 캐서린



여기서 잠깐 영화에서 꾸준히 등장하는 거울을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캐서린과 클로이가 처음 만나는 레스토랑 화장실 양면에 거울이 있다. 그녀들이 두 번째로 만나는 호텔방 역시 두 개의 거울이 마주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거울 속에 또 다른 거울이 보인다. 영화에서 클로이는 꾸며낸 이야기를 캐서린에게 들려줬다. 그렇다면 관객인 우리는 캐서린이 꾸며낸 이야기를 들었는지도 모르는 일이다. 거울 속의 거울... 이야기 속의 이야기...




이렇게 생각을 확장하다 보면, 영화 자체가 캐서린의 상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우리는 흔히 금지된(혹은 타부시되는) 욕망을 상상할 때, 상상 속에서 자신을 약자, 피해자 혹은 수동적인 위치에 놓곤 한다. 영화 속 캐서린이 딱 그 짝이다. 그녀는 남편과 아들에게서 소외되어 불안해하고, 클로이와의 관계에서는 지극히 수동적다. 먼저 키스하고 도발하는 것은 클로이고, 캐서린은 거부의 몸짓을 보인다. 애정공세를 퍼부으며 집착하고 매달리는 것도 클로이다. 클로이와 섹스를 하기 전에도 캐서린은 "그는 어떻게 했지?" 라고 묻는다. 클로이와 하고 싶은 게 아니라, 남편이 어떻게 외도했는지 알기 위해 호텔방으로 달려왔다고 변명하는 것이다. 상상을 하면서도 일종의 자기 변명거리를 만드는 것이다. 


또 하나 이상한 점은 결말이다. 클로이는 캐서린과 자고, 캐서린 아들과도 잤다. 이런 이상한 관계 뒤에 다시 화목해지는 가정?? 화목하던 가정도 풍비박산 날 상황이다. 게다가 그 콜 걸이 자신들의 집에서 떨어져 죽었다. 찝찝해서 그 집에 계속 살 수 있기는 한 걸까? 그 뿐 만이 아니다. 캐서린은 자기 눈 앞에서 자살한 클로이가 남긴 머리핀을 고이 간직한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하기 힘든 일이다. 


따라서 그 머리핀은 클로이로 상징되는 욕망의 집약체로 봐야한다. 누구나 금지된 욕망은 자신의 어딘가에 꽂혀있기 마련인 것이다. 어쩌면 그 머리핀은 처음부터 캐서린의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클로이는 캐서린 가족 사이에 끼어든 적도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 모든 것이 거울 속의 거울.. 이야기 속의 이야기였다면, 우리는 첨부터 캐서린이 꾸며내어 들려준 그녀의 금지된 욕망만을 보았을 뿐인지도..


P.S. 클로이가 캐서린에게서 튀어나온 캐서린의 또다른 자아라고 가정한다면, 마이클과 동침한 것은(아니 동침을 상상한 것은) 캐서린이다. 이 역시 타부시되는 욕망. 게다가 영화의 마지막은 마이클의 졸업 파티다. 마이클은 이제 성인 남자가 된 것. 마지막에 교환되는 시선들은 어딘지 모르게 은밀해 보인다. 너무 나갔나.. 아님 말고.